제2테마 아이누 문화와 아이누 민족의 근현대사

  • TOP
  • 전시
画像

아이누는 일본의 선주민족입니다. “아이누”란 아이누어로 인간이라는 뜻입니다. 아이누 민족은 바로 이 홋카이도를 비롯해 사할린(가라후토), 쿠릴 열도 등을 생활의 무대로 다양한 문화를 키워 왔습니다. 메이지 정부가 홋카이도를 일본의 영토로 포함하고 개척을 진행하는 가운데 아이누 민족의 생활이나 문화는 큰 타격을 받습니다. 그러나 아이누 민족의 발자취는 끊어지지 않고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제2테마 아이누 문화와 아이누 민족의 근현대사

画像

2-1 오늘날의 아이누 민족

画像
画像

2-2 아이누 민족의 전통적인 생활문화

画像
画像

2-3 아이누 민족의 구두 전승

画像
画像

2-4 아이누 민족의 근현대사

전시물 소개

아침의 삿포로역

아침의 삿포로역

スライド画像

이 사진은 2014년의 아침의 삿포로역 풍경입니다. 사람들이 직장이나 학교를 향하고 있습니다. 삿포로에서 생활하는 아이누 사람들도 매일 이렇게 직장생활이나 학교생활, 시장 등 일상생활을 보내고 있습니다. 아이누 사람들에게는 특별한 일이 아닌 지극히 당연한 일상입니다. 그러나 아이누를 잘 모르는 사람 중에는 아이누 민족이 지금도 특별한 지역에서 생활하고 있다는 이미지를 가진 사람도 있는 것 같습니다. 현대의 아이누 민족은 아이누 민족이 아닌 다른 일본 사람들과 똑같은 지역에서 함께 똑같이 일상생활을 보내고 있다는 사실을 오늘 저희 박물관을 찾아주신 여러분께서 먼저 이해해 주시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마키리

마키리

スライド画像

물건을 자르거나 깎기도 하고, 요리에도 사용하는 등 이 한 자루를 여러가지 일에 사용합니다. 대부분 표면에는 예쁜 무늬가 새겨져 있습니다. 홋카이도에 방문한 와진 (일본인) 들에게도 인기였던 듯, 교역품이 되기도 했답니다.

사라닙 (サラニㇷ°, saranip)

사라닙 (サラニㇷ°, saranip)

スライド画像

나무 껍질과 줄기 등을 엮어 만든 바구니입니다. 소재와 그 엮는 방법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 크기가 다른 바구니를 만들 수 있습니다. 좁쌀이나 피 등 다듬어진 수확물, 산에서 채취한 산나물, 또 강에서 잡힌 생선을 담는 등 다양하게 썼습니다.

전통적인 옷

전통적인 옷

スライド画像

옷은 양면 모두 유리 케이스 안에 넣어 전시하고 있으니 자수나 무늬의 모습 등을 자세히 봐 주세요. 2~3개월마다 전시된 옷들을 바꿔 전시하기 때문에 다시 방문하실 때에는 또다른 옷들을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이쿠파스이와 투키

이쿠파스이와 투키

スライド画像

카무이와 조상에게 술을 바치기 위한 주걱과 술을 넣는, 옻칠을 한 공기그릇입니다. 이 도구는 인간의 식사용과 구별해서 사용되었습니다. 전시한 것은 공기그릇을 받침대에 올리고 그 위에 술을 바치기 위한 주걱을 두어 카무이에게 기도를 올릴 준비를 마친 상태입니다.

주거

주거

スライド画像

이곳에 있는 가옥은 이부리 지방의 시라오이에서 자란 하마 야이치로우 씨 (1916~91) 의 지도하에 복원된 옛 가옥입니다. 박물관의 천장 높이에 맞추어 조금 작게 복원되어 있습니다. 중앙에는 화덕이 만들어졌고 가족이 둘러앉을 장소, 잘 곳, 보물과 의식에 쓰이는 도구를 둘 곳 등이 정해져 있습니다. 화덕의 불씨는 언제나 꺼지는 일이 없었다고 합니다. 화덕에 불을 피우는 것으로 인해 지면이 따듯해져 벽이나 지붕의 갈대 등이 단열재가 되어 추운 겨울을 견딜 수 있었습니다.

아이누어 블록

아이누어 블록

スライド画像

아이누어 블록은 즐기면서 아이누어의 단어나 구조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때로는 이상한 글이 되기도 하지만 어느 조합에서도 제대로 된 아이누어가 됩니다. 다만 순서를 바꾸면 아이누어로서는 잘못된 글이 됩니다. 특히 빨간색 블록의 「내가」 , 「당신을」 등은 파란색 블록 「먹는다」 , 「쓰다듬었다」 같은 움직임을 나타내는 말에 반드시 붙여야 하니 주의하세요.

아이누의 악기 “돈코리”를 연주해 보세요

아이누의 악기 “돈코리”를 연주해 보세요

スライド画像

사할린의 아이누 민족이 전해 내려온 돈코리(오현거문고)를 직접 연주하실 수 있습니다. 손가락 끝으로 살짝 현을 튕겨 보시면 그 음색을 들으실 수 있습니다. 악기를 정확하게 잡는 방법과 연주 방법 등도 사진으로 소개해 드리고 있습니다.

「흰색 여우의 첫눈에 반하다」

「흰색 여우의 첫눈에 반하다」

スライド画像

이 애니메이션은 박물관 직원이 녹음한 아이누어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만들었습니다. 이야기의 내용은 산에서 살고 있는 흰색 여우인 카무이의 형제가 있어, 그 형이 인간의 딸과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입니다.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기 위해서 원래의 이야기에는 없는 아이누 민족의 도구와 집안의 모습을 보완하거나, 다른 이야기들을 함께 조사해서 애니메이션에는 담기 어려운 아이누 문화의 세계관 등을 이미지하여 영상화한 곳 등도 있지만 그러한 부분들은 최소화했습니다.

아이누 민족에 의한 연설회의 포스터

아이누 민족에 의한 연설회의 포스터

スライド画像

메이지 시대에 접어들어 일본이 홋카이도의 개척을 진행해 나가면서 아이누 민족의 생활과 문화는 큰 타격을 받게 되었습니다. 아이누 사람들은 이렇게 어려운 상황에서도 자신들의 삶의 터전을 이룩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입니다. 이 사진은 1930년경의 사진으로 아이누 민족의 청년들이 삿포로 시계탑에서 연설회를 여는 것을 알리는 포스터입니다. 포스터에는 와진(혼슈인, 本州人) 들의 차별적인 아이누관을 개정하도록 요구하는 주장과 아이누 민족에 대한 시책의 문제점을 따지는 주장 등이 쓰여 있습니다.